조직문화(2)
-
밀레니얼 세대?
밀레니얼 세대 끈기없는/ 불만투성이/ 쉽게 퇴사하는 지금까지 아무도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고, 당연히 여겼던 관행에 대해 이들은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는다. 2008년 기준 전 세계 1/3을 차지하는 밀레니얼세대! 그 전 어느 세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가 크다 대한민국은 26%를 차지, 노동 및 경제활동을 왕성히 하고 있다. 인원수가 많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조직에서 이들을 신경써야 하는 근거는 충분하다. 다음으로 다가올 모바일 네이티브인 '포노사피엔스'세대에 대한 대비또한 필요하다 밀레니얼이 직장에서 원하는 것 ) 공정, 효율, 존중, 가치, 성장, 안정 공정] 익명 sns, 기업평가 앱 등에서 현직자 및 퇴사자의 평가를 꼼꼼히 확인하며 회사의 분위기는 물론 나의 시간, 노동을 투자했을 때 그에..
2021.05.25 -
토스 공부💻
조직이 커지는 과정에서) 조직구조보다 일의 효율성이 중요하다 생각키 쉬움 2-30명때 조직구조 혁신 시도) 금융 혁신 + 기업문화 혁신이 중요한 아젠다 주변 회사원들의 불행한 이유 중 많은 원인이 조직구조, 일하는 방식, 문화에 있단걸 발견함 -> 구성원들의 동감, 그걸 풀어야 한다는 강한 비전공유 비즈니스의 성공 + 기업문화의 성공 우리 세대가 가장 일하기 좋은 문화는 ?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조직 구성을 갖고 일해보는과정 1) 다른 기업의 방식을 적용해보기도, 2) 우리가 생각하기에 맞는 방식을 생각해보기도 = 3개월 정도 시행착오를 통해 토스에게 가장 잘 맞는 조직구조는?을 뼛속까지 알 수 있었음 ( 시행착오를 기꺼이 감수, 즐기는 곳) 에자일 조직의 구조) 자율과 책임이란 원칙하에 느슨하게 결합..
2021.05.21